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이론/Network ,보안

VLAN 정리

목표

  • VLAN의 동작 구조 및 예제

내용

  • 네트워크가 필요한 이유
    • 다른 사람에게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 목적
    • 무엇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 케이블(UTP), 전파(Wifi, LTE, 5G), 케이블에다 전파를 쏘기(광 케이블)
    • 어떻게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 데이터를 특정 크기(MTU:Maximum Transmission Unit) 상자에 담고 (Bucket)
      • 어디로 보낼지 정보를 추가해서 포장하자 Packet(Package + Bucket)
      • 포장 후 택배를 보내면 물류 허브(라우터)를 거쳐 라우팅해서 가고
      • 상세 정보인 아파트 호수(포트)를 통해 실제 택배를 보내게 된다.
    • VLAN
      • VLAN이란
        • 1개의 물리 네트워크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것
        • 1개의 물리 PC에 4대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 같은 VLAN에 있는 PC들만 통신 할 수 있음
      • VLAN 구조
        • OSI 7 계층 내 구조
        • 1개의 물리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해 OSI 7 계층 기준으로 L2,L3 사이에 VLAN Tag를 붙임
        • 패킷 구조
        • VLAN을 설정하기 위한 L2 스위치, L3 스위치 포트의 Port Mode
          • Access 모드 : Server, Host Pc에 연결이 되는 모드
          • Trunk 모드 : Switch나 Trunk을 지원하는 NIC를 가진 Host에 연결된다.
        • 스위치 Port Mode 간 포워딩 시 VLAN Tag 변화
          • Server, Host Pc의 연결되는 경우에는 VLAN Tag만 확인하고, Trunk의 경우에는 VLAN Tag 확인 및 Tag 설정 및 해제 작업을 수행
        • VLAN 동작 원리
          • A-B 통신 시
            • VLAN 태깅, 언태깅 없이 통신 수행
          • A-H 통신 시
            • SW #1 Trunk 통과 시 VLAN ID 태깅
            • SW #1 → SW #2 통과 시 VLAN 태그 유지
            • SW#2 → 16번 포트 포워딩 시 VLAN 언태깅 후 전달
        • 사용 하는 이유?
          • VLAN을 사용하면 한대의 스위치를 마치 여러 대의 분리된 스위치 처럼 사용할 수 있다.
            • 하나의 스위치에 연결된 장비들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이 서로 다를 수 있다.
          • 여러 개의 네트워크 정보를 하나의 포트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runk 모드 설정 필요)
        • 예제
          • 구성 방법
          • 통신 예제
        • 사례
          • 서버의 단일 포트에 여러개의 VLAN이 할당되어야 할 경우

배울 점

  • VLAN을 통해서 같은 물리 스위치 및 포트에서 네트워크를 분리할 수 있다.
  •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한 서버에 여러개의 VM을 띄우기 때문에 VLAN 설정은 필수다.
  • VM별 통신 자체를 VLAN으로 네트워크로 분리할 수 있다.

추후 공부해야 할 점

  • VLAN을 사용하면 당연히 네트워크 대역 및 사용량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참고자료

728x90
반응형

'컴퓨터 이론 > Network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 정리  (0) 2022.12.05
[보안] SSH 원격 호스트 접속  (0) 202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