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46)
AWS 네트워크 정리 - VPC(1) AWS 네트워킹 서비스 거의 클라우드 업계에서 암묵적인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AWS 에 대해서 하나 씩 차근 차근 학습을 진행해보고자 한다. 그 첫 번째로 AWS 의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한 학습으로 AWS VPC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AWS 네트워킹 서비스 AWS 네트워킹 서비스는 크게 5개의 분류로 나눌 수 있다. VPC - AWS 클라우드에 만드는 가상의 데이터 센터 ( 논리적 격리 ) VPN - 온프레미스 DC와 VPC의 IPSEC VPN[IP프로토콜 + Security 강화(인증)] 연결 Direct Connect - 온프레미스 DC와 VPC의 전용선 연결 ELB - 관리형 LB(Load Balancer) 서비스 Route53 - 관리형 DNS 서비스 VPC VPC(Virtual Priva..
[ 1 일 1 TED ] 좋은 대화를 위한 10가지 비법 좋은 대화를 위한 방법 취준 할 때 많이 보이는 문장이라고 생각한다.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 나도 예전 부터 면접에서 1분 자기 소개 등을 할 때 위의 문장을 정말 많이 사용했다 물론 그 때는 정말 내가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잘한다고 생각했고, 취직한 지금 까지도 다른 건 잘 모르겠지만, 업무 적인 측면에서는 내 생각을 잘 표현하는 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여러 부서 사람들과 협업을 하면서 내가 편한 대화를 진행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이 있을지, 더 좋은 대화를 위한 방법들이 있을까에 대해 의문을 가졌고, 고민을 하던 중 TED에서 좋은 강의를 찾아 듣고 요약을 해봤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영상 내용 요약 대화는 말하기와 듣기의 균형이 필요하다. 퓨 연구소에 따..
[전체구조] 컴퓨터 구성 #1 컴퓨터 구성 목표 A. H/W, OS 등 컴퓨터에 대한 기초 구성을 이해한다. B. 각 세부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큰 틀을 잡는다. 요약 A. 컴퓨터의 구성은 크게 H/W와 S/W로 구분된다. B. H/W의 구성 요소는 다양하지만, 입력 장치, 주기억장치, 연산/제어장치, 보조기억장치, 출력장치로 분류된다. C. OS는 S/W에 속하지만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효율적인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특수한 소프트웨어 상세 설명 1. 전체 구조도 2. H/W 입력 장치 데이터 버스 C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3. OS 프로세스 관리 저장 장치 관리 네트워킹 사용자 관리 디바이스 드라이버 결론 A. H/W, OS 등 컴퓨터에 대한 기초 구성을 이해한다. a. 컴퓨터는 H/W와 S/W로 구성되어 있으며,..
[OS #1] 프로세스 관리 OS의 첫 번째 단원인 프로세스 관리 단원이다. 프로세스 단원에서 배워갈 목표는 아래와 같다. 목표 1. 프로세스는 무엇인가 2. 프로세스 생성, 제어 방법은 무엇인지 (인터럽트,시스템콜) 3. 프로세스가 실행 될 때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 하는 지 (스케줄링) 4. 프로세스 끼리의 관계와 통신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IPC, 동기화) 5. 프로세스가 관리되는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 방법 (Deadlock, RaceCondition) 정리 1. 프로세스는 무엇인지 1. 프로세스는 소스코드로 이루어져있는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위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작업 단위(TASK)를 지칭한다 (프로세스는 서로 메모리가 분리 되어 있음) 2. 프로세스는 Code, Data, Heap, 메인스레드, 메..
[모니터링] RabbitMQ 모니터링 지표 정리 목표 RabbitMQ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메트릭과 스스로 우선 순위를 정해보기 RabbitMQ는 퍼블리셔, [Node, Exchange, Queue], 컨슈머 객체로 이루어져 있음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어떠한 것을 주요 메트릭 확인 내용 Rabbit MQ 구성 Erlang Runtime 기반의 Node에서 Producer, [Exchange, queue], Consumer로 구성 Exchange, queue는 RabbitMQ 브로커 영역 주요 참고 메트릭 Node Metric (RabbitMQ를 운영하는 머신) File descriptors used, File descriptors used as sockets 고갈 되면, 새로운 Connection을 블락함, 사용가능한 갯수 파악 필요 Disk S..
[기술블로그탐방] 기술 부채를 줄이는 방법 Cockroach Labs Blog | Cockroach Labs Cockroach Labs Blog | Cockroach Labs The Cockroach Labs blog is where you will hear from the folks bringing CockroachDB to life. We're opinionated. We're irreverent. We're committed to honesty. www.cockroachlabs.com 요약 오버엔지니어링은 지양하고, 유연성, 효율성을 지향해라 내용 스타트업은 짧은 시간에 달성해야 목표들이 많음 목표 달성을 위한 현실적 타협의 산물인 작은 기술 부채가 모여 태산이 됨 기술 부채를 최소화할 방법을 제시한다. 올바른 기술 스택을 사용한다. 인력,..
[장애리뷰] 로블로스 에러 https://blog.roblox.com/2022/01/roblox-return-to-service-10-28-10-31-2021/ Roblox Return to Service 10/28-10/31 2021 - Roblox Blog Starting October 28th and fully resolving on October 31st, Roblox experienced a 73-hour outage. We’re sharing these technical details to give our community an understanding of the root cause of the problem, how we addressed it, and what we are doing to p blog.roblox...
[Ansible] Window 적용 아카이브 Window Service Window 서비스 생성 시 nssm을 통한 서비스 생성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nssm을 통해 윈도우 서비스를 편하게 생성할 수 있지만 문제는 Ansible을 통해 nssm 생성 중 argument를 넣을 때 몇 몇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우선 nssm 구성 중 원하는 argument를 넣기 위해서는 ansible window nssm 모듈의 argument 키를 사용하면 된다. 문제는 정상 생성을 해도 nssm에 제대로 argument가 들어가 있는 지 확인이 조금 귀찮다.. Window Service로 가서 보아도 확인이 불가능하다. nssm으로 window 서비스를 한 번 감싸져 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래도 CMD에서 확인하는 명령어 WMIC path win32_..

728x90
반응형